수족냉증과 한방치료
수족냉증(手足冷症)이란, 추위를 느끼지 않을 만한 온도에서 손이나 발에 지나칠 정도로 냉기를 느껴 다른 사람에 비해 추위에 대해 과민함을 더 많이 느끼는 상태입니다. 손발이 차가운 것이 그 주된 증상이지만 때로는 무릎이나 아랫배, 허리처럼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 냉기를 느끼기도 합니다.
수족냉증의 원인과 증상
현재까지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수족냉증의 증상은 신체 말초 부위의 혈액순환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을 때 신체로의 열 공급이 떨어지면서 추운 곳에 있을 때뿐만 아니라 따뜻한 곳에서도 손발이 시리듯 차고 심하면 그 냉증(冷症)으로 고통까지 야기하는 상태로 발전 하기도 합니다.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에 따르면 냉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40.5%는 어지럼증이나 빈혈을 갖고 있으며, 위장장애(30.4%), 정신신경증상(25%), 관절질환(21.1%), 산후풍(19.9%), 불임증(12.5%) 등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한편, 냉증을 가장 강하게 느끼는 계절로는 겨울(57%), 가을(14%), 봄(10%), 여름(3%) 순이었습니다.
수족냉증은 보통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며, 특히 출산을 끝낸 여성이나 40대 이상의 중년 여성에게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성은 생리, 출산, 폐경 같은 여성호르몬 변화 때문에 외부자극으로부터 예민해질 수밖에 없으며, 손과 발에 혈액 공급이 줄어들어 심한 냉감을 느끼게 되기 때문인데요, 증상이 심해지면 생리통, 갱년기 장애, 불임, 성기능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고 각종 종양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걸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강동경희대한방병원 한방부인과 이진무 교수는 "한의학에서 인체의 양기가 모자라면 냉증이 나타나는데, 이때 비위가 쇠약해져 소화불량이 나타날 수 있다"며 "몸을 따뜻하게 보호해주고 비위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적외선 체열 촬영 통한 개인의 체질과 상태에 적합한 한약, 침치료 등을 받으면 몸을 따뜻하게 하면서 정체된 기운을 풀어 증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조언 했습니다.
한의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한방에서는 신체기능 진찰을 통해 냉증 진단과 발병원인을 분석하여, 개인의 체질과 상태에 따라 한약, 침, 뜸, 부항요법 등으로 기혈순환을 돕는 치료를 진행 합니다.
또한 한방차(韓方茶)를 정기적으로 꾸준히 음용하는 것은 수족냉증을 극복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쑥이나 인삼, 생강, 구기자, 대추, 계피 등의 약재로 차를 끓여 하루 두 번, 아침과 저녁으로 마시면 좋습니다. 특히 부인과질환으로 인한 수족냉증에는 더덕, 당귀(當歸), 향부자(香附子)를 차(茶)로 달여 마시면 수족냉증 증상 완화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이밖에 수족냉증 치료를 위해 환자의 증상 및 건강 상태에 따라 혈액순환 개선제 복용을 고려해 볼 수도 있지만, 더욱 중요한 치료법은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것으로, 손과 발뿐 아니라 몸 전체를 따뜻하게 하고, 세수나 설거지 등을 할 때에는 찬물을 사용하지 말고, 피부가 건조하지 않게 보습에 신경을 써주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공지사항: 각 환자분의 증상 치료는 의사와 환자 사이의 '직접 대면(對面) 진찰'을 거쳐 이루어져야 하므로, 저희 곽지형 한의원 건강뉴스 혹은 웹사이트 상에 기재된 칼럼 및 내용은 개개인 환자 진료와 치료를 대체 할수 있는 내용이 아닙니다. 감사합니다.